PER, PBR, EPS?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PER, PBR, EPS란 무엇인가요?
주식 투자를 할 때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PER(주가수익비율), PBR(주가순자산비율), EPS(주당순이익)은 가장 기본적인 개념입니다.
이 개념들을 이해하면, 기업이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✅ PER(Price Earnings Ratio, 주가수익비율) 쉽게 이해하기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PER은 주가가 기업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💡 예시:
어떤 기업의 주가가 10,000원이고, 1주당 순이익(EPS)이 1,000원이라면,
PER = 10,000 ÷ 1,000 = 10
- PER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PER이 높으면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, 이미 고평가되었을 수도 있습니다.
✅ PBR(Price Book Value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 쉽게 이해하기
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PBR은 기업의 순자산(자본)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.
💡 예시:
어떤 기업의 주가가 10,000원이고, 1주당 순자산(BPS)이 5,000원이라면,
PBR = 10,000 ÷ 5,000 = 2
- PBR이 1보다 작으면 주가가 자산 가치보다 낮아 저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큽니다.
- PBR이 1보다 크면 투자자들이 미래 가치를 보고 높은 가격에 거래하고 있는 것입니다.
✅ EPS(Earnings Per Share, 주당순이익) 쉽게 이해하기
EPS = 순이익 ÷ 총 발행 주식 수
EPS는 기업이 1주당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💡 예시:
어떤 기업의 순이익이 10억 원이고, 발행된 주식 수가 100만 주라면,
EPS = 10억 ÷ 100만 = 1,000원
-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있다는 뜻입니다.
- EPS가 낮거나 마이너스(-)면 기업의 수익성이 낮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.
PER, PBR, EPS 실전 활용법
- PER이 낮고 EPS가 꾸준히 상승하는 기업 → 수익성이 좋고 저평가된 기업일 가능성이 큽니다.
- PBR이 1보다 낮고 EPS가 상승하는 기업 → 자산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큽니다.
- PER과 PBR이 모두 높은데 EPS가 낮거나 정체 → 고평가된 기업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
⚠️ 주의할 점
- PER, PBR, EPS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. 산업마다 평균 PER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동종 업계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한 가지 지표만 보고 투자하지 마세요. 여러 가지 지표를 함께 고려해야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.
-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세요. 현재 EPS가 높아도, 미래 실적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면 주의해야 합니다.